반응형
투자관련 기사를 보다 보면 "엔 캐리 트레이드"란 말이 등장합니다. "엔 캐리 트레이드"란 무엇인지 정리해 보겠습니다.
엔 캐리 트레이드(Yen Carry Trade)란 일본의 저금리 엔화를 차입하여 상대적으로 고금리인 다른 국가의 자산에 투자하는 전략을 말합니다.
작동 원리
- 투자자가 일본 은행에서 낮은 금리(예: 0.5%)로 엔화를 차입합니다.
- 차입한 엔화를 다른 통화(예: 달러화)로 환전합니다.
- 환전한 자금을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예: 5%)를 제공하는 국가의 채권, 주식 등에 투자합니다.
- 투자 수익과 금리 차이(5% - 0.5% = 4.5%)로 이익을 실현합니다.
- 만기 시 원금과 이자를 엔화로 상환합니다.
엔 캐리 트레이드의 인기 이유
- 1990년대 이후 일본의 장기 저금리 기조로 인해 엔화 차입 비용이 저렴해졌습니다.
- 다른 국가 대비 일본의 금리가 현저히 낮아 금리 차이를 활용한 투자가 수익성이 높았습니다.
- 엔화 약세 추세로 인해 환율 상승에 따른 추가 수익도 기대할 수 있었습니다.
위험 요인
- 엔화 강세 시 환율 하락으로 인한 손실 발생 가능성이 있습니다.
- 투자 대상 국가의 금리 인하 또는 경기 침체 시 수익성이 하락할 수 있습니다.
- 급격한 자금 이동으로 인한 금융시장 불안정성 초래 가능성이 있습니다.
엔 캐리 트레이드는 저금리와 고금리 국가 간 금리 차이를 활용한 투자 전략으로, 수익 기회와 함께 환율 변동 및 시장 변화에 따른 위험도 동반합니다.
반응형
'01. 금융제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계수지, 가계순저축률, 가계신용통계, 가계처분가능소득은 무엇인가? (0) | 2024.06.21 |
---|---|
가계부실위험지수(HDRI)란? (0) | 2024.06.18 |
체크카드와 신용카드의 현명한 사용법 (0) | 2024.06.05 |
국민연금 개혁안에 따른 소득대체율, 보험료율, 수령나이는 어떻게 될까? (0) | 2024.06.03 |
니어쇼어링의 뜻과 사례 : 미-중 무역갈등으로 인한 멕시코의 부각 (1) | 2024.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