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01. 금융제도

가계부실위험지수(HDRI)란?

by 달러다이나모 2024. 6. 18.
반응형

가계부실위험지수(HDRI, Household Debt Risk Index)는 가계의 부채 상환능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지표입니다. 가계의 소득, 금융자산, 실물자산 등을 고려하여 가계부채의 위험 수준을 측정합니다.

 

가계부실위험지수의 구성요소

가계부실위험지수는 크게 두 가지 요소로 구성됩니다.

  • 원리금상환비율(DSR, Debt Service Ratio)
    가구의 연간 원리금 상환액을 처분가능소득으로 나눈 값입니다. 이 비율이 높을수록 가계의 부채 상환 부담이 큽니다.
  • 부채/자산 비율
    가계의 총부채를 금융자산과 실물자산으로 나눈 값입니다. 이 비율이 높을수록 가계의 자산 대비 부채 수준이 높아 위험합니다.

 

가계부실위험지수의 해석

한국은행은 가계부실위험지수가 100을 초과하면 '위험가구'로 분류합니다. 지수가 높을수록 가계부채 위험이 높다고 판단합니다.

 

가계부실위험지수가 높은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가계의 채무상환 능력 약화
    가계부실위험지수가 높다는 것은 가구의 소득 대비 부채 수준이 높고 자산 대비 부채 비율도 높다는 의미입니다. 이렇게 되면 가계의 채무상환 능력이 약화되어 원리금 상환에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 금융기관의 가계대출 위험 증가
    은행 등 금융기관 입장에서는 가계대출의 부실 위험이 높아지게 됩니다. 이에 따라 대출금리를 인상하거나 가계대출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 소비 위축 및 내수경기 침체 초래
    가계부채 부담이 커지면 가계는 소비를 줄일 수밖에 없습니다. 이는 내수경기 침체로 이어져 경제 전반에 부정적 영향을 미칩니다.
  • 자산가격 하락 시 부실화 가속
    가계부채가 누적된 상황에서 주가나 부동산 가격 등 자산가치가 하락하면 가계의 순자산이 급격히 감소합니다. 이 경우 가계부실화가 가속화되어 연체와 채무불이행 사태로 번질 수 있습니다.
  • 금융시스템 리스크 증가
    결국 가계부채 문제가 심각해지면 은행 등 금융기관의 건전성이 훼손되고, 이는 금융시스템 전반의 리스크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계부실위험지수를 안정적 수준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부는 가계부채 문제 해결을 위해 다각도의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