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보통주와 우선주는 주식의 두 가지 주요 유형으로, 각각의 특징과 장단점이 다릅니다. 아래에서 보통주와 우선주의 정의, 주요 차이점, 장단점 등을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보통주 (Common Stock)
1. 정의
보통주는 기업이 발행하는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주식으로, 주주에게 의결권을 부여합니다. 주주총회에서 의사결정에 참여할 수 있으며, 회사의 성장과 함께 주가 상승에 따른 이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2. 주요 특징
- 의결권: 보통주 주주는 주주총회에서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이는 회사의 주요 결정에 참여할 수 있는 권리를 의미합니다.
- 배당금: 보통주는 배당금을 받을 수 있지만, 배당금은 회사의 이익과 경영 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배당금 지급 여부와 금액은 회사의 재량에 달려 있습니다.
- 주가 변동성: 보통주의 주가는 회사의 실적, 시장 상황 등에 따라 크게 변동할 수 있습니다.
3. 장점
- 의결권: 주주총회에서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어 회사 경영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 성장 잠재력: 회사의 성장과 함께 주가가 상승할 경우 큰 이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4. 단점
- 배당금 불확실성: 배당금이 회사의 이익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며, 배당금이 지급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부도 시 후순위: 회사가 청산될 경우, 보통주 주주는 자산 배분에서 후순위가 됩니다.
우선주 (Preferred Stock)
1. 정의
우선주는 보통주와 달리 의결권이 없지만, 배당금과 잔여 재산 분배에서 우선권을 가지는 주식입니다. 주로 배당 수익을 중시하는 투자자들이 선호합니다.
2. 주요 특징
- 의결권 없음: 우선주 주주는 주주총회에서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 고정 배당금: 우선주는 보통주보다 높은 배당률을 제공하며, 배당금이 고정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 우선 변제권: 회사가 청산될 경우, 우선주 주주는 보통주 주주보다 먼저 잔여 재산을 분배받을 수 있습니다.
3. 장점
- 고정 배당금: 보통주보다 높은 배당률을 제공하며, 배당금이 고정되어 있어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우선 변제권: 회사 청산 시 보통주 주주보다 우선적으로 잔여 재산을 분배받을 수 있습니다.
4. 단점
- 의결권 없음: 주주총회에서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어 회사 경영에 참여할 수 없습니다.
- 주가 상승 제한: 고정 배당금으로 인해 주가 상승의 잠재력이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반응형
'03.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게임스탑 주식 _ 밈 주식의 전설 (사례) (0) | 2024.06.06 |
---|---|
"밈 주식"이란 무엇인가? _ 경제 용어 (1) | 2024.06.05 |
무상증자와 유상증자는 어떻게 다른가? (0) | 2024.06.01 |
PER가 낮은 주식의 미래 성장 가능성은 어떻게 평가할 수 있을까? (0) | 2024.05.31 |
PER가 낮은 주식은 언제 매수하는 것이 좋을까? (0) | 2024.05.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