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05. 뉴스 따라잡기

"베어 스티프닝" _ 장기 금리가 단기 금리보다 빠르게 상승

by 달러다이나모 2024. 5. 30.
반응형

베어 스티프닝(Bear Steepener)은 채권 시장에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장기 금리가 단기 금리보다 더 빠르게 상승할 때 발생합니다. 이는 수익률 곡선의 기울기가 가팔라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베어 스티프닝은 일반적으로 인플레이션 기대치가 상승하거나 단기적으로 주식 시장이 약세를 보일 때 발생합니다.

 

주요 포인트

  • 베어 스티프닝 정의: 장기 금리가 단기 금리보다 더 빠르게 상승하여 수익률 곡선의 기울기가 가팔라지는 현상입니다.
  • 원인: 인플레이션 기대치 상승, 경제 성장 전망, 투자자 수요와 공급,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정책 등이 영향을 미칩니다.
  • 투자 전략: 투자자들은 단기 채권을 매수하고 장기 채권을 매도함으로써 베어 스티프닝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단기 채권의 수익률이 상승할 때 더 많은 수익을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수익률 곡선과 베어 스티프닝

수익률 곡선은 다양한 만기의 채권 수익률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입니다. 일반적인 금리 환경에서는 수익률 곡선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상승하는 형태를 보입니다. 그러나 베어 스티프닝이 발생하면 장기 금리가 더 빠르게 상승하여 곡선의 기울기가 가팔라집니다.

 

예를 들어, 2019년 11월 20일에 10년 만기 미국 국채의 수익률이 1.73%였고, 2년 만기 국채의 수익률이 1.56%였습니다. 이 경우, 장기 금리가 단기 금리보다 더 빠르게 상승하여 베어 스티프닝이 발생한 것입니다. 베어 스티프닝은 채권 시장에서 중요한 현상으로, 투자자들이 금리 변동에 따라 전략을 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반응형